채용 전형 소개
1. 서류 전형
- 지원자 분이 제출해주신 서류를 검토하여 다음 전형으로 진행할 것인지 여부에 대하여 결정하는 단계입니다.
- 먼저 제출해주신 지원서가 공고 포지션에 할당된 업무 및 자격요건과 일치하는지를 파악한 후, 지원자 분의 역량에 대해 심층적으로 검토를 진행하게 됩니다.
- 역량에 대한 심층적 검토는 단순히 지원자 분의 능력이 뛰어나다 혹은 뛰어나지 않다를 검토하는 것이 아니라, 아이포트폴리오에서 같이 업무를 잘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판단합니다.
<aside>
💡 Tip!
지원서에 지원자 분의 '핵심역량' 및 '아이포트폴리오와의 일치성'을 구체적으로 언급해주시면 좋아요.
</aside>
2. 코딩 테스트(개발 직무 대상)
- 개발 직무는 서류 전형 다음 단계로 온라인 코딩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.
- 알고리즘 문항을 통해 문제해결력 및 코드의 간단명료함을 검토하며, 그 외에도 주관식 문항, SQL 문항 등으로 개발자로서의 기본 직무 역량을 검증합니다.
- 단순히 코딩테스트 결과로 나오는 점수로 합격 혹은 불합격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며, 제출하신 주관식 답변 및 코드 등을 전반적으로 확인 후 결정합니다.
<aside>
💡 Tip!
문제의 핵심을 파악하고, 그 해결방법을 답변 및 코드로 풀어낼 수 있다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.
</aside>
3. 1차 인터뷰
- 1차 인터뷰는 실무진이 참석하여 지원자 분들의 '직무 역량'을 확인합니다.
- 지원서 상에서는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검토하며, 그에 따라 일정 수준의 꼬리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역량은 단순히 기술 및 지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에, 문제에 접근하는 태도 및 해결을 위한 고찰 등 근본적이고 심층적인 부분까지 파악하고자 합니다.
<aside>
💡 Tip!
지원자 분의 프로젝트 및 업무 경험 등에 대하여, 스스로 왜 그런 선택을 하였으며 그 결과 어떤 것들을 배울 수 있었는지 정리해보면 좋아요.
</aside>
4. 2차 인터뷰
- 2차 인터뷰는 경영진이 참석하여 지원자 분들과 아이포트폴리오의 적합도(Fit)을 확인합니다.
- 직무 역량과는 별개의 시뮬레이션 질문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. 해당 질문들의 경우 '정답'은 없으나, 답변을 통해 아이포트폴리오와 적합도(Fit)을 판단합니다.
- 평소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고 계신지, 아이포트폴리오에서 앞으로 어떻게 성장하고 싶은지 등 다양한 측면에서 지원자 분들을 알아가기 위한 질문이 있을 수 있습니다.
<aside>
💡 Tip!
2차 인터뷰 전, 아이포트폴리오의 사명과 추구하는 핵심가치 등을 스스로에게 먼저 물어보세요. 회사와의 일치성을 사전에 알 수 있어요.
</aside>
5. 처우협의
- 단순히 제시급여 및 희망급여를 조율하는 모습에 그치지 않고, 회사가 추구하는 방향 및 내부 분위기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같이 이루어집니다.
- 이를 통해 입사하고자 하는 회사에 대하여 세부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, 자신의 결정에 확신을 갖는 단계로 자리매김 합니다.
<aside>
💡 Tip!
회사의 방향성은 어떠한지, 입사하게 된다면 어떤 식으로 업무가 진행되는지 등에 대하여 자세히 질문하시면 좋아요.
</aside>
기타 FAQ
- 각 단계별로 소요되는 기간은 어느 정도인가요?
- 장기간 동안 결과 안내를 받지 못했습니다. 기다려야 할까요?
- 불합격자의 경우에도 안내를 받을 수 있나요?